반응형

□ 스타트업에서 대표의 의사결정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대표이사는 다양한 의사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대표는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결정을 할까요? 

대부분 대표의 과거의 경험과 지식에 근거를 하게 됩니다. 이를 "본능적인 사업감각" 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대표의 경험과 지식의 폭이 얕고 잘못되었을 경우에 잘못된 의사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표이사는 흔히 "내가 해봐서 아는데~" 와 같은 말을 하면서 의사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대표의 경험이 잘못된 것이라면? 그리고 대표가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일에 대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서비스 부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는데, 이 내용이 대표이사가 전혀 경험하지 못한 일이라면 대표이사는 이를 거부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로운 시장기회를 잃을 수도 있게 되는 것입니다.

 

 대표의 잘못된 의사결정을 보완할 수 있는 2가지 방법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보완책이 나왔는데요, 여기에서는 2가지 정도의 방법을 제시합니다.

첫번째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입니다.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충분한 시장, 판매, 제품, 경쟁사 데이터를 확보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최대한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입니다. 스타트업에서는 잘못된 의사결정에 따른 위험비용을 줄이기 위해 최소단위제품개발 (MVP, Minimum Viable Product) 를 한 후에 고객 반응을 보면서 가설검증 과정을 거치라는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두번째는 의사결정협의체를 만드는 것입니다. 대표의 부족한 경험과 지식을 보완해 줄수 있는 C-레벨 이사진과 함께 사안들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 집단 의사결정체를 만들거나, 좋은 멘토진을 옆에 두고 조언을 받으면서 집단지성을 통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해 나가는 것입니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경영진 회의라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최종 의사결정과 결제를 하는 사람이 대표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회사 성과의 45% 는 대표이사의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대표 본인의 역량과 자질을 키우고, 무엇보다 대표가 "경청하는 자세" 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대표의 역량과 경험을 키운다는 것은 어느정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대표가 오픈 마인드로 자신의 잘못을 빠르게 인정하고 실수를 저질렀을 경우에 이를 빠르게 바로잡는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인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결국 사업 성패의 가장 큰 요인은 대표에게 달려 있다는 결론이 나오네요. 

이상적으로 대표이사는 주변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자신의 역량과 경험을 최대한 늘려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