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rom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5, july

중국의 대항해시대를 열었던 대제독, 정화(鄭和)

정화(鄭和, Zheng He, 1371~1435)는 1371년(홍무 4년)에 곤양(현재의윈난성 진닝)에서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원나라시대에 서역에서 윈난으로 이주해 온 이슬람 교도였고, 그는 2남 4녀 중 둘째 아들이었다. 1382년 윈난성이 명나라에 정복되자 체포되어 연왕(燕王)을 섬겼다.1399년부터 1402년에 걸친 전쟁에서 연왕을 위해 싸워 무공을 세우고, 영락 2년(1404)에 연왕이 건문제의 뒤를 이어 황제(영락제)에 즉위한 뒤 환관의 장관으로 발탁되었고 정(鄭)씨 성을 하사 받았다.

그당시 정화가 섬긴 영락제(永樂帝; 1360~1424)는 명나라 제3대 황제로 홍무제의 넷째 아들이었기 때문에 연왕에 봉해졌고, 베이징에 주재하면서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1398년에 홍무제가 세상을 떠나자 조카인 건문제가 황제로 즉위하자 영락제는 반란을 일으켜 1402년에 수도 난징을 점령하고 황제에 즉위하였다. 조카로부터 제위를 빼앗은 영락제는 민심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일 필요가 있었고, 또 그 당시 중앙 아시아에서는 몽골인의 티무르 제국이 세력을 떨쳐 중국과 서역과의 육상 교통을 방해하고 있었다.

1405년에는 티무르가 명나라를 공격 하는 전쟁을 일으켰지만 왕이 도중에서 병사하였다. 육상 교통이 막힌 명나라는 해상 교통을 통하여 서남 아시아 여러 나라와 접촉할 필요가 잇기에 영락제는 고민을 하다가 자신이 믿는 정화로 하여금 남해를 원정하게 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것이 바로 정화의 약 30년에 걸친 남해(南海) 원정의 대항해이다. 그의 원정은 1405년-33년까지 7회에 걸쳐 대선단(大船團)을 지휘하여 동남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동해에 이르는 30여국에 원정하여 명나라의 국위를 선양하였고, 무역상의 실리를 획득하였으며, 중국인의 남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다. 동남아시아 각지에서의 화교(華僑)들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여 오늘의 화교집단을 이르게 하였다.

영락제는 정화의 대항해를 지원한 것 이외에도 대규모의 토목공사를 단행하였는데. 만리장성의 증축, 1421년 자금성 신축, 그리고 정화 제독에게 명한 대규모의 해외 항해무역 등이 그것이다. 총 7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정화의 대항해는 동남아시아 - 인도 - 중동을 거쳐 동아프리카에 이르렀다는 것이 정설이며, 최근 개빈 멘치스라는 영국의 퇴역 해군장교는 정화 함대의 항해는 전세계를 아울러, 신대륙과 호주, 남극해와 북극해까지 발견했다는 과격한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 게빈 멘치스의 주장들은
http://1421.tv 에서 볼 수 있다. ) 멘치스의 저서 "1421, 중국이 세계를 지배했을 떄" 를 읽었는데, 매우 흥미롭기는 하지만 중국이 유럽보다 먼저 신대륙과 세계일주를 했다는 주장을 입증하려면 보다 강력한 증거들이 필요할 것 같다.

출처 :
http://www7.nationalgeographic.com/ngm/0507/feature2/index.html

Viewed from the rocky outcropping of Dondra Head at the southernnmost tip of Sri Lanka, the first sighting of the Ming fleet is a massive shadow on the horizon. As the shadow rises, it breaks into a cloud of tautly ribbed sail, aflame in the tropical sun. With relentless determination, the cloud draws ever closer, and in its fiery embrace an enormous city appears. A floating city, like nothing the world has ever seen before. No warning could have prepared officials, soldiers, or the thunderstruck peasants who stand atop Dondra Head for the scene that unfolds below them. Stretched across miles of the Indian Ocean in terrifying majesty is the armada of Zheng He, admiral of the imperial Ming navy.

Exactly 600 years ago this month the great Ming armada weighed anchor in Nanjing, on the first of seven epic voyages as far west as Africa—almost a century before Christopher Columbus's arrival in the Americas and Vasco da Gama's in India. Even then the European expeditions would seem paltry by comparison: All the ships of Columbus and da Gama combined could have been stored on a single deck of a single vessel in the fleet that set sail under Zheng He.

Its commander was, without question, the most towering maritime figure in the 4,000-year annals of China, a visionary who imagined a new world and set out consciously to fashion it. He was also a profoundly unlikely candidate for admiral in anyone's navy, much less that of the Dragon Throne.

The greatest seafarer in China's history was raised in the mountainous heart of Asia, several weeks' travel from the closest port. More improbable yet, Zheng was not even Chinese—he was by origin a Central Asian Muslim. Born Ma He, the son of a rural official in the Mongol province of Yunnan, he had been taken captive as an invading Chinese army overthrew the Mongols in 1382. Ritually castrated, he was trained as an imperial eunuch and assigned to the court of Zhu Di, the bellicose Prince of Yan.

Within 20 years the boy who had writhed under Ming knives had become one of the prince's chief aides, a key strategist in the rebellion that made Zhu Di the Yongle (Eternal Happiness) emperor in 1402. Renamed Zheng after his exploits at the battle of Zhenglunba, near Beijing, he was chosen to lead one of the most powerful naval forces ever assembled.

Six centuries later I left China with photographer Michael Yamashita in search of Zheng He's legacy, a 10,000-mile (16,093-kilometer) journey that would carry us from Yunnan to Africa's Swahili coast. Along the way I came to feel that I had found the man himself.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Voyages of Zheng He (1405-1433 )
The ships of Zheng's armada were as astonishing as its reach. Some accounts claim that the great baochuan, or treasure ships, had nine masts on 400-foot-long (122-meter-long) decks. The largest wooden ships ever built, they dwarfed those of Portuguese explorer Vasco da Gama. Hundreds of smaller cargo, war, and supply ships bore tens of thousands of men who brought China to a wider world.  

1st Voyage
1405-1407
317 ships
27,870 men
In July the fleet left Nanjing with silks, porcelain, and spices for trade. This well-armed floating city defeated pirates in the Strait of Malacca and reached Sumatra, Ceylon, and India.

2nd Voyage
1407-1409
The fleet returned foreign ambassadors from Sumatra, India, and elsewhere who had traveled to China on the first voyage. The expeditions firmly established the Ming dynasty's Indian Ocean trade links.

3rd Voyage
1409-1411
Although notable for the imperial fleet's only major foreign land battle, the voyage was also marked by Muslim Zheng's offering of gifts to a Buddhist temple, one of many examples of his ecumenism.

4th Voyage
1413-1415
In this voyage's wake, the first to travel beyond India and cross the Arabian Sea, an estimated 18 states sent tribute and envoys to China, underscoring the Ming emperor's influence overseas.

5th Voyage  
1417-1419
Zheng's Treasure Fleet visited the Arabian Peninsula and, for the first time, Africa. In Aden the sultan presented exotic gifts such as zebras, lions, and ostriches.

6th Voyage
1421-1422
Zheng He's fleet continued the emperor's version of shuttle diplomacy, returning ambassadors to their native countries after stays of several years, while bringing other foreign dignitaries back to China.

7th Voyage
1431-1433
The last voyage, to Africa's Swahili coast, with a side trip to Mecca, marked the end of China's golden age of exploration and of Zheng He's life. He presumably died en route home and was buried at sea.

정화의 대항해가 의미하는 바는 매우 크다.  
지난 10 세기부터 20 세기에 이르는 1천년동안 상반기 500 년의 세계최강국은 바로 중국이었다. 게빈 멘치스의 책에서 언급되듯이, 영국이나 프랑스가 겨우 수만의 병사를 동원하는 국력이었던 것에 반해 중국은 수십만 대군을 동원해서 외적과 싸웠다. 유럽의 귀족들이 13 세기 당시 소지할 수 있던 서적의 수는 10 여권이 넘지 못했는데 명나라 초기에 수도 남경에서는 수백권의 책들이 자유롭게 유통되었다. 중국은 서양보다 먼저 나침반, 종이, 화약의 3대 발명품을 개발했고 항해를 위해 밤 하늘의 별을 이용하는 천문학이 고도로 발달해 있었다. 이러한 선진 문물과 광대한 자원, 국력을 가진 중국이 정화의 대원정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대외정책을 스스로 포기하고 쇄국정책의 길로 들어섬에 따라 국력은 점점 쇠약해지고 결국 우물안 개구리 신세가 되어 나중에는 서양과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오랜 암흑기가 지난 후, 개방과 경제성장 정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이제 다들 알다시피 최근 군사, 경제, 외교, 과학등 각 분야에서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21 세기가 중국의 세계가 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600 년전, 바다를 지배하고 세계를 지배하던 그 시대의 세계 최강 중국의 모습이 다시 현실속에서 재현되는 느낌이다. 역시 역사란 돌고 도는 것인가.

+ Recent posts